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장비류/주무기/배틀 라이플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H&K G3|라흐만-762]] === ||<-5><tablewidth=1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2D2F34><nopad> [[파일:MWII_LH762.png|width=100%]] || ||<-2><bgcolor=#191d26> '''{{{#white 플랫폼}}}''' ||<-3> 라흐만 & 미어 플랫폼 || ||<-5> ''지연 블로우백 7.62 리시버로 화력과 컨트롤을 확보했습니다. 모드를 전환하여 정확한 반자동 사격, 또는 강력한 전자동 점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원문은 short bursts of devastating full-auto firepower로 전자동이지만 점사를 지원한다고 잘못 설명되어있다. 좀 더 정확한 번역은 '짧게 끊어 쏘는 막강한 전자동 사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다.] || ||<-2><bgcolor=#191d26> '''{{{#white 탄종}}}''' ||<-3> 7.62 NATO || ||<rowbgcolor=#191d26><width=20%> '''{{{#white 해제 레벨}}}''' ||<width=20%> '''{{{#white 사격 모드}}}''' ||<width=20%> '''{{{#white 정조준 전환}}}''' ||<width=20%> '''{{{#white 달리기 후 사격}}}''' ||<width=20%> '''{{{#white 전술 달리기 후 사격}}}''' || || 16 || 반자동 | 전자동 || 0.260 초 || 0.210 초 || 0.310 초 || ||<rowbgcolor=#191d26> '''{{{#white 총구 탄속}}}''' || '''{{{#white 연사력}}}''' || '''{{{#white 장탄수}}}''' || '''{{{#white 일반 재장전 시간}}}''' || '''{{{#white 전술 재장전 시간}}}''' || || 660 m/s || 반자동: 492 RPM[br]전자동: 606 RPM || 20 || 2.87 초 || 2.04 초 ||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2D2F34><bgcolor=#191d26> '''{{{#white 피해량 / BTK / TTK - 기본 반자동 사격 모드 기준}}}''' || ||<bgcolor=#191d26><width=100> '''{{{#white 구간}}}''' ||<width=16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0%, #C9151E 0% 20.3%, #808080 20.3% 100%)" '''{{{#white {{{-2 0 m[br]20.3 m}}}}}}'''}}} ||<width=16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20.3%, #C9151E 20.3% 30.5%, #808080 30.5% 100%)" '''{{{#white {{{-2 20.3 m[br]30.5 m}}}}}}'''}}} ||<width=16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30.5%, #C9151E 30.5% 43.2%, #808080 43.2% 100%)" '''{{{#white {{{-2 30.5 m[br]43.2 m}}}}}}'''}}} ||<width=16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43.2%, #C9151E 43.2% 100%, #808080 100% 100%)" '''{{{#white {{{-2 43.2 m[br]+}}}}}}'''}}} || ||<bgcolor=#191d26> '''{{{#white 머리}}}''' ||<bgcolor=#ffffff,#000000> '''100 / 1'''[br]{{{-2 0.000 초}}} ||<bgcolor=#ffadad,#930000> '''96 / 2'''[br]{{{-2 0.122 초}}} ||<bgcolor=#ffadad,#930000> '''92 / 2'''[br]{{{-2 0.122 초}}} ||<bgcolor=#ffadad,#930000> '''67 / 2'''[br]{{{-2 0.122 초}}} || ||<bgcolor=#191d26> '''{{{#white 목}}}''' ||<bgcolor=#ffadad,#930000> '''57 / 2'''[br]{{{-2 0.122 초}}} ||<bgcolor=#ffadad,#930000> '''55 / 2'''[br]{{{-2 0.122 초}}} ||<bgcolor=#ffadad,#930000> '''52 / 2'''[br]{{{-2 0.122 초}}} ||<bgcolor=#ffd6a5,#ED4C00> '''38 / 3'''[br]{{{-2 0.244 초}}} || ||<bgcolor=#191d26> '''{{{#white 몸통 상부}}}''' ||<bgcolor=#ffadad,#930000> '''57 / 2'''[br]{{{-2 0.122 초}}} ||<bgcolor=#ffadad,#930000> '''55 / 2'''[br]{{{-2 0.122 초}}} ||<bgcolor=#ffadad,#930000> '''52 / 2'''[br]{{{-2 0.122 초}}} ||<bgcolor=#ffd6a5,#ED4C00> '''38 / 3'''[br]{{{-2 0.244 초}}} || ||<bgcolor=#191d26> '''{{{#white 몸통 하부}}}''' ||<bgcolor=#ffadad,#930000> '''52 / 2'''[br]{{{-2 0.122 초}}} ||<bgcolor=#ffadad,#930000> '''50 / 2'''[br]{{{-2 0.122 초}}} ||<bgcolor=#ffd6a5,#ED4C00> '''48 / 3'''[br]{{{-2 0.244 초}}} ||<bgcolor=#ffd6a5,#ED4C00> '''35 / 3'''[br]{{{-2 0.244 초}}} || ||<bgcolor=#191d26> '''{{{#white 팔 상부}}}''' ||<bgcolor=#ffd6a5,#ED4C00> '''48 / 3'''[br]{{{-2 0.244 초}}} ||<bgcolor=#ffd6a5,#ED4C00> '''46 / 3'''[br]{{{-2 0.244 초}}} ||<bgcolor=#ffd6a5,#ED4C00> '''44 / 3'''[br]{{{-2 0.244 초}}} ||<bgcolor=#caffbf,#5D9657> '''32 / 4'''[br]{{{-2 0.366 초}}} || ||<bgcolor=#191d26> '''{{{#white 팔 하부}}}''' ||<bgcolor=#ffd6a5,#ED4C00> '''48 / 3'''[br]{{{-2 0.244 초}}} ||<bgcolor=#ffd6a5,#ED4C00> '''46 / 3'''[br]{{{-2 0.244 초}}} ||<bgcolor=#ffd6a5,#ED4C00> '''44 / 3'''[br]{{{-2 0.244 초}}} ||<bgcolor=#caffbf,#5D9657> '''32 / 4'''[br]{{{-2 0.366 초}}} || ||<bgcolor=#191d26> '''{{{#white 다리 상부}}}''' ||<bgcolor=#ffd6a5,#ED4C00> '''48 / 3'''[br]{{{-2 0.244 초}}} ||<bgcolor=#ffd6a5,#ED4C00> '''46 / 3'''[br]{{{-2 0.244 초}}} ||<bgcolor=#ffd6a5,#ED4C00> '''44 / 3'''[br]{{{-2 0.244 초}}} ||<bgcolor=#caffbf,#5D9657> '''32 / 4'''[br]{{{-2 0.366 초}}} || ||<bgcolor=#191d26> '''{{{#white 다리 하부}}}''' ||<bgcolor=#ffd6a5,#ED4C00> '''48 / 3'''[br]{{{-2 0.244 초}}} ||<bgcolor=#ffd6a5,#ED4C00> '''46 / 3'''[br]{{{-2 0.244 초}}} ||<bgcolor=#ffd6a5,#ED4C00> '''44 / 3'''[br]{{{-2 0.244 초}}} ||<bgcolor=#caffbf,#5D9657> '''32 / 4'''[br]{{{-2 0.366 초}}} || {{{#!folding [ 전자동 사격 모드 피해량 / BTK / TTK ]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2D2F34><bgcolor=#191d26> '''{{{#white 피해량 / BTK / TTK - 전자동 사격 모드 기준}}}''' || ||<bgcolor=#191d26><width=100> '''{{{#white 구간}}}''' ||<width=16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0%, #C9151E 0% 20.3%, #808080 20.3% 100%)" '''{{{#white {{{-2 0 m[br]20.3 m}}}}}}'''}}} ||<width=16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20.3%, #C9151E 20.3% 30.5%, #808080 30.5% 100%)" '''{{{#white {{{-2 20.3 m[br]30.5 m}}}}}}'''}}} ||<width=16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30.5%, #C9151E 30.5% 43.2%, #808080 43.2% 100%)" '''{{{#white {{{-2 30.5 m[br]43.2 m}}}}}}'''}}} ||<width=16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43.2%, #C9151E 43.2% 100%, #808080 100% 100%)" '''{{{#white {{{-2 43.2 m[br]+}}}}}}'''}}} || ||<bgcolor=#191d26> '''{{{#white 머리}}}''' ||<bgcolor=#ffadad,#930000> '''77 / 2'''[br]{{{-2 0.099 초}}} ||<bgcolor=#ffadad,#930000> '''74 / 2'''[br]{{{-2 0.099 초}}} ||<bgcolor=#ffadad,#930000> '''72 / 2'''[br]{{{-2 0.099 초}}} ||<bgcolor=#ffadad,#930000> '''67 / 2'''[br]{{{-2 0.099 초}}} || ||<bgcolor=#191d26> '''{{{#white 목}}}''' ||<bgcolor=#ffd6a5,#ed4C00> '''48 / 3'''[br]{{{-2 0.198 초}}} ||<bgcolor=#ffd6a5,#ed4C00> '''46 / 3'''[br]{{{-2 0.198 초}}} ||<bgcolor=#ffd6a5,#ed4C00> '''44 / 3'''[br]{{{-2 0.198 초}}} ||<bgcolor=#fdffb6,#9d9014> '''32 / 4'''[br]{{{-2 0.297 초}}} || ||<bgcolor=#191d26> '''{{{#white 몸통 상부}}}''' ||<bgcolor=#ffd6a5,#ed4C00> '''48 / 3'''[br]{{{-2 0.198 초}}} ||<bgcolor=#ffd6a5,#ed4C00> '''46 / 3'''[br]{{{-2 0.198 초}}} ||<bgcolor=#ffd6a5,#ed4C00> '''44 / 3'''[br]{{{-2 0.198 초}}} ||<bgcolor=#fdffb6,#9d9014> '''32 / 4'''[br]{{{-2 0.297 초}}} || ||<bgcolor=#191d26> '''{{{#white 몸통 하부}}}''' ||<bgcolor=#ffd6a5,#ed4C00> '''48 / 3'''[br]{{{-2 0.198 초}}} ||<bgcolor=#ffd6a5,#ed4C00> '''46 / 3'''[br]{{{-2 0.198 초}}} ||<bgcolor=#ffd6a5,#ed4C00> '''44 / 3'''[br]{{{-2 0.198 초}}} ||<bgcolor=#fdffb6,#9d9014> '''32 / 4'''[br]{{{-2 0.297 초}}} || ||<bgcolor=#191d26> '''{{{#white 팔 상부}}}''' ||<bgcolor=#ffd6a5,#ed4C00> '''36 / 3'''[br]{{{-2 0.198 초}}} ||<bgcolor=#ffd6a5,#ed4C00> '''34 / 3'''[br]{{{-2 0.198 초}}} ||<bgcolor=#fdffb6,#9d9014> '''33 / 4'''[br]{{{-2 0.297 초}}} ||<bgcolor=#caffbf,#5d9657> '''24 / 5'''[br]{{{-2 0.396 초}}} || ||<bgcolor=#191d26> '''{{{#white 팔 하부}}}''' ||<bgcolor=#ffd6a5,#ed4C00> '''36 / 3'''[br]{{{-2 0.198 초}}} ||<bgcolor=#ffd6a5,#ed4C00> '''34 / 3'''[br]{{{-2 0.198 초}}} ||<bgcolor=#fdffb6,#9d9014> '''33 / 4'''[br]{{{-2 0.297 초}}} ||<bgcolor=#caffbf,#5d9657> '''24 / 5'''[br]{{{-2 0.396 초}}} || ||<bgcolor=#191d26> '''{{{#white 다리 상부}}}''' ||<bgcolor=#ffd6a5,#ed4C00> '''36 / 3'''[br]{{{-2 0.198 초}}} ||<bgcolor=#ffd6a5,#ed4C00> '''34 / 3'''[br]{{{-2 0.198 초}}} ||<bgcolor=#fdffb6,#9d9014> '''33 / 4'''[br]{{{-2 0.297 초}}} ||<bgcolor=#caffbf,#5d9657> '''24 / 5'''[br]{{{-2 0.396 초}}} || ||<bgcolor=#191d26> '''{{{#white 다리 하부}}}''' ||<bgcolor=#ffd6a5,#ed4C00> '''36 / 3'''[br]{{{-2 0.198 초}}} ||<bgcolor=#ffd6a5,#ed4C00> '''34 / 3'''[br]{{{-2 0.198 초}}} ||<bgcolor=#fdffb6,#9d9014> '''33 / 4'''[br]{{{-2 0.297 초}}} ||<bgcolor=#caffbf,#5d9657> '''24 / 5'''[br]{{{-2 0.396 초}}} ||}}} 실제 모델은 [[헤클러 운트 코흐|H&K]]사의 [[H&K G3|G3A3]]이다. 핸드가드에 구멍이 뚫려있고 전체적으로 G3보다는 민수용인 HK91에 가깝게 모델링되어 있다. 개조를 통해 G3/SG-1을 만들어 LM-S의 성능을 일부 가져올 수 있고, 혹은 라흐만 556 총열을 달아 HK51을 만들 수도 있다. 마스터키를 장착할 수 없다. 개인 무장이 열리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기본 배틀 라이플. 반자동 모드에서는 연사력이 500RPM 수준으로 느려 리콘에 비해 화력이 좀 떨어지는 대신 반동이 안정적이고 탄창도 기본 20발로 부족하지 않은 정도는 제공된다. 완전 자동 모드에서는 연사력이 카스토프 762와 대등한 수준까지 오르지만 대미지가 낮아져서 헤드샷 원샷킬과 가슴 2발킬이 불가능해지고 반동이 굉장히 커진다. 확장 탄창 부품도 적절하게 30발, 50발 탄창을 지원한다. 꽤 강력한 근접 똥파워를 보여주나 원거리는 매우 힘든 것까지 전작의 오든에서 연사력과 데미지를 조금 손본, 덜떨어진(?) 오든 느낌이 강하다. 평가는 그냥 그저그런 소총. 낮은 평가의 이유는 반동이 거칠다는 점이 가장 크다. 전자동 사격 모드에서는 연사력 자체는 괜찮지만 수평 반동부터 잡기 만만치 않으며 수직 반동조차 FTAC 리콘보다 나은 정도지 만만할 정도로 작은 것은 아닌데다 데미지도 낮아지면서 3힛킬 소총이 되는 바람에 카스토프계열 3힛킬 AR들에게 무난하게 털리고, 반자동 정확도도 DMR까지 갈 필요도 없이 같은 배틀 라이플군의 SO-14, TAQ-V에게도 무난하게 밀리는 탓에 효율이 생각보다 높지 않다. 초반 소총이다보니 이 총을 가장 먼저 뚫게 되는 경우가 많고 사용 가능한 파츠도 거의 없는 것기 마련이라 파츠를 통한 능력치 보정도 험난하다. 다만 원거리 특화를 위해 조준안정, 반동제어에 도움을 주는 저격용 스톡과 후방 손잡이 파츠는 자체적으로도 보유하고 있어 참고 레벨을 올리면 어느 정도 쓸만한 수준까지 개조가 가능하긴 하다. 나쁘진 않지만 그래도 모자란 성능에도 불구하고 픽률이 제법 있는데 일단 초반에 해금되는 총인 탓이 가장 크며 라흐만 테크를 뚫기 위한 것도 있다. 여러모로 냉전기 서독 뽕맛을 경험하고 싶은 유저들을 위한 총이라 볼 수 있겠다. 시즌 2부터 원거리 대미지가 증가했고, 그 외 단발 사격은 버프를 먹고 연발 사격은 너프를 먹었다. 단발 사격의 경우 흉부 대미지 증가와 사격 속도가 빨라졌고, 연발 사격은 반동이 감소되었지만 머리와 흉부에 들어가는 대미지가 감소되었다. ||<tablewidth=100%><bgcolor=#191d26> '''{{{#white 설계도}}}''' || * 일렉트로웨이브: [[신스웨이브]] 번들. [[베이퍼웨이브]] 아트를 모티브로 삼았다. FSS제로 변경된다. * 그루브 앤 무브: [[사이키델릭]] 번들. 총열에는 Scrapyard vacant, 하부 총몸에는 Crash, 그립에는 Rust, 개머리판에는 알 수 없는 단어가 적혀져 있으며 총몸에는 울고있는 여성의 얼굴이 그려져 있다. * 울리는 후렴구: 그림: 크림슨 번들. 탄창에 [[늑대]]가 그려져 있는데 [[로마 숫자]]로 [[13]]이라고 적힌 걸 보면 [[그림 동화]]에서 늑대가 항상 죽는걸로 끝나는 것을 모티브로 삼은 듯 싶다. 번들 명칭도 [[빨간 망토]]를 연상케하고. * 평등 조약: 시즌1 DMZ 블랙 마우스 5티어 임무 '비행 계획' 완료 보상. 포지택제로 변경된다. * 파티 크래셔: 시즌 2 명성 9(레벨 450) 달성 보상. 아래에 설명할 시즌 1 당시의 명성 최고레벨 보상인 버텍스 드라이브와 마찬가지로 은도금이라도 한 것처럼 광택이 나는 강철 색상 & 총 여기저기에 가로로 긁은 듯한 스크래치 줄무늬 조합이다. * 황금 꼬꼬: 그림: 황금 거위 번들.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모티브라 금장에 거위가 그려져있다. * [[상습범]]: 클리어코트 코만도 번들. 총몸은 맥8, 그립은 XRK, 총열과 탄창은 브루엔, 수직 손잡이는 XTEN, 개머리판은 슐라거가 만들었다. * 시트러스 블리츠: 스위트 스팟 번들. [[그래피티]]로 그린 문자가 그려져 있다. XTEN제로 변경된다. * [[암스테르담|운하지구]]: 시즌4 배틀패스 D18 섹터 보상. 총열에 월드 와이드 프로파간다, 탄창에 닉토의 얼굴이 그려져 있으며 개머리판에는 MP-4라 적혀져 있다. FJX제로 변경된다. ||<tablewidth=100%><bgcolor=#191d26> '''{{{#white 플랫폼 부속}}}''' || ||<bgcolor=white,#2D2F3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6><tablewidth=100%><width=20%><bgcolor=#6e6e6e> '''{{{#white 총열}}}''' ||<bgcolor=#181c37> '''{{{#white 15.9" 라흐만 RAPP 배럴}}}''' ||<bgcolor=white,#2D2F34> 라흐만 762로 3레벨 달성시 해금 || ||<width=40%><bgcolor=#9ff781,#3B5A3B>탄속[br]유효 사거리[br]반동 제어[br]지향사격 명중률||<width=40%><bgcolor=#f5a9d0,#943838>정조준 속도[br]이동속도[br]지향사격 반동 제어|| ||<-2><bgcolor=white,#2D2F34> 기관총용 총열, 사거리가 늘어나지만 무거워서 근접대응력이 떨어지며 반동을 잡지 않으면 에임이 흔들린다. || ||<bgcolor=#181c37> '''{{{#white 미어-56 11" 배럴}}}''' ||<bgcolor=white,#2D2F34> 라흐만 762로 7레벨 달성시 해금 || ||<width=40%><bgcolor=#9ff781,#3B5A3B>정조준 속도[br]이동속도[br]지향사격 반동 제어||<width=40%><bgcolor=#f5a9d0,#943838>탄속[br]반동 제어[br]유효 사거리|| ||<-2><bgcolor=white,#2D2F34> HK33의 총열, RAPP 총열의 단점이 장점이 되었지만 탄속이 느려져서 중장거리전이 불리해진다. || ||<|6><width=20%><bgcolor=#6e6e6e> '''{{{#white 후방 손잡이}}}''' ||<bgcolor=#181c37> '''{{{#white S-그립 제로}}}''' ||<bgcolor=white,#2D2F34> 라흐만 762로 16레벨 달성시 해금 || ||<width=40%><bgcolor=#9ff781,#3B5A3B>정조준 안정성[br]피격 저항||<width=40%><bgcolor=#f5a9d0,#943838>정조준 속도[br]정조준 이동사격 속도|| ||<-2><bgcolor=white,#2D2F34> PSG-1의 상징적인 손잡이, 정조준 중에 일어난 상황에 악영향을 끼치지만 정조준 중에 에임이 크게 흔들리지 않게 된다. || ||<bgcolor=#181c37> '''{{{#white 라흐만 TCG-10}}}''' ||<bgcolor=white,#2D2F34> 라흐만 762로 11레벨 달성시 해금 || ||<width=40%><bgcolor=#9ff781,#3B5A3B>반동 제어||<width=40%><bgcolor=#f5a9d0,#943838>정조준 안정성|| ||<-2><bgcolor=white,#2D2F34> M-LOK 트리거 그룹, 적에게 공격당했을 때 에임이 크게 흔들리지 않게 된다. || ||<|9><width=20%><bgcolor=#6e6e6e> '''{{{#white 탄창}}}''' ||<bgcolor=#181c37> '''{{{#white 30발 탄창}}}''' ||<bgcolor=white,#2D2F34> 라흐만 762로 9레벨 달성시 해금 || ||<width=40%><bgcolor=#9ff781,#3B5A3B>장탄수||<width=40%><bgcolor=#f5a9d0,#943838>단점|| ||<-2><bgcolor=white,#2D2F34> 장탄수 +10. HK33의 탄창을 사용한다. || ||<bgcolor=#181c37> '''{{{#white 10발 탄창}}}''' ||<bgcolor=white,#2D2F34> 라흐만 762로 15레벨 달성시 해금 || ||<width=40%><bgcolor=#9ff781,#3B5A3B>재장전 속도||<width=40%><bgcolor=#f5a9d0,#943838>장탄수|| ||<-2><bgcolor=white,#2D2F34> PSG-1의 10발 들이 탄창을 사용한다. || ||<bgcolor=#181c37> '''{{{#white 50발 탄창}}}''' ||<bgcolor=white,#2D2F34> 라흐만 762로 18레벨 달성시 해금 || ||<width=40%><bgcolor=#9ff781,#3B5A3B>장탄수||<width=40%><bgcolor=#f5a9d0,#943838>단점|| ||<-2><bgcolor=white,#2D2F34> 장탄수 +20. [[MG30|MG15]]의 탄창을 개조해 G3에 꼽게 만든 탄창이 모티브다.[[https://s-media-cache-ak0.pinimg.com/736x/e0/10/e1/e010e14cd698e32e7d6bad77b931b3a7.jpg|#]][[http://www.rdts.com/RDTS_21KUBF_75rnd_drum.jpg|#]] MG15의 탄창은 75발 들이로 현실적으로 보면 공간낭비다. || ||<|6><width=20%><bgcolor=#6e6e6e> '''{{{#white 개머리판}}}''' ||<bgcolor=#181c37> '''{{{#white LM-S 팩토리 G79 스톡}}}''' ||<bgcolor=white,#2D2F34> 라흐만 762로 10레벨 달성시 해금 || ||<width=40%><bgcolor=#9ff781,#3B5A3B>정조준 안정성[br]반동 제어||<width=40%><bgcolor=#f5a9d0,#943838>정조준 이동사격 속도[br]전력질주 속도[br]정조준 속도[br]앉은 이동속도|| ||<-2><bgcolor=white,#2D2F34> PSG-1의 상징적인 개머리판, 정조준 사격을 도와주지만 근접대응력이 떨어진다.|| ||<bgcolor=#181c37> '''{{{#white 미어 리코일-56 팩토리 스톡}}}''' ||<bgcolor=white,#2D2F34> 라흐만 762로 4레벨 달성시 해금 || ||<width=40%><bgcolor=#9ff781,#3B5A3B>정조준 안정성[br]반동 제어[br]전력질주 속도||<width=40%><bgcolor=#f5a9d0,#943838>정조준 이동사격 속도[br]정조준 속도[br]앉은 이동속도|| ||<-2><bgcolor=white,#2D2F34> G3의 중형 개머리판. || }}}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